
간호조무사의 월급은 근무 환경, 경력, 지역 등에 따라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다른 보건의료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간호조무사의 평균 월급과 근무 조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간호조무사의 평균 월급
2021년 기준 보건사회복지업 종사자의 월평균 임금은 295만 원이었으며, 간호조무사의 월평균 임금은 이의 72% 수준인 213만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이는 최저임금의 1.14배 수준이며, 보건사회복지업 종사자 평균 월급의 약 72%에 해당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경력에 따른 임금 차이
간호조무사의 임금은 경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경력 10년 이상인 경우에도 최저임금 이하를 받는 비율이 50.6%에 달하며, 이는 경력과 근속이 임금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근무 환경에 따른 임금 차이
간호조무사의 임금은 근무하는 기관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4인 이하 사업장인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근로기준법 적용이 제한되어 노동조건이 열악하며, 최저임금 미만율이 평균 대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contentReference[oaicite:6]{index=6}
방문간호조무사의 임금
방문간호조무사의 경우, 1시간당 수가가 55,120원이며, 인건비 비율 59.5%를 적용하면 1시간당 약 32,796원을 받게 됩니다. 하루 3건씩 20일을 근무할 경우, 세전 약 1,967,760원의 수입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contentReference[oaicite:8]{index=8}
간호조무사의 임금과 근무 조건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많습니다. 경력과 근속 기간에 따른 임금 상승 체계 마련, 근로기준법의 적용 확대 등을 통해 간호조무사의 처우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